mobile background

 지금 이 순간에도 

 내가 숨쉬는 공기, 발 디딘 땅, 마시는 물 속에서 

 플라스틱이 발견됩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내가 숨쉬는 공기, 

 발 디딘 땅, 

 마시는 물 속에서 

 플라스틱이 발견됩니다. 

mobile background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 곳곳에서 

 매일 100만 톤 이상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버려지고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 곳곳에서 

 매일 100만 톤 이상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버려지고 있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로 가득 찬 지구에서

이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딱 하나

 플라스틱 생산을 줄여야 합니다! 

플라스틱. '원하는 모양대로 만들다'는 뜻의

 그리스어 플라세인(plassein)에서 유래한 단어라고 합니다.


 그 어원에 걸맞게 플라스틱은 비닐봉투, 일회용 컵, 생수병에서부터

 스마트폰, 자동차, 비행기에 이르기까지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모습으로 변신하여 우리 곁에 있습니다.


 이렇게 편리하게 사용되고 버려지는 플라스틱은

 UN이 지목한 '오늘날 지구가 겪고 있는 세 가지 위기'

 기후위기ㆍ환경오염ㆍ생물다양성 손실의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플라스틱 쓰레기로 가득 찬 지구에서

이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딱 하나

 플라스틱 생산을 줄여야 합니다! 

플라스틱. ‘원하는 모양대로 만들다’는 뜻의

그리스어 ‘플라세인(plassein)’에서

유래한 단어라고 합니다.


그 어원에 걸맞게 플라스틱

비닐봉투, 일회용 컵, 생수병에서부터

스마트폰, 자동차, 비행기에 이르기까지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모습으로

변신하여 우리 곁에 있습니다.


이렇게 편리하게 사용되고 버려지는 플라스틱은

UN이 지목한

'오늘날 지구가 겪고 있는 세 가지 위기'

기후위기ㆍ환경오염ㆍ생물다양성 손실의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플라스틱 전 생애 주기에서 발생하는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플라스틱의 99%는 석유로 만들어집니다. 

 

화석연료에 기댈 수밖에 없는 플라스틱은 전 생애주기에 걸쳐 석탄발전소 189기와 맞먹는 온실가스 8억 6천만 톤을 배출합니다.

이대로라면 2050년에는 석탄발전소 615기에 버금가는 온실가스를 배출합니다.

전 세계 플라스틱 쓰레기 처리 방법

 플라스틱 재활용률은 겨우 9%에 불과합니다. 

 

나머지 91%의 플라스틱 쓰레기는 매립ㆍ소각되거나 땅과 바다에 투기됩니다.

 플라스틱으로 인한 오염은  땅의 경계도, 세대의 경계도 뛰어넘습니다. 

 

국제사회는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을 만들기로 약속했고 2022년부터 협상회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 전 생애 주기에서 발생하는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플라스틱의 99%는 석유로 만들어집니다. 

화석연료에 기댈 수 밖에 없는 플라스틱은

석탄발전소 189기와 맞먹는

온실가스 8억 6천만 톤을 배출합니다.

이대로라면 2050년에는 석탄발전소 615기에

버금가는 온실가스를 배출합니다.


전 세계 플라스틱 쓰레기 처리 방법

 플라스틱 재활용률은 겨우 9%에 불과합니다. 

나머지 91%의 플라스틱 쓰레기는

매립ㆍ소각되거나 땅과 바다에 투기됩니다.

 플라스틱으로 인한 오염은 

 땅의 경계도, 세대의 경계도 뛰어넘습니다. 

국제사회는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을 만들기로 약속했고

2022년부터 협상회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과는 반대로 우리나라는 

 플라스틱 관련 규제를 계속 후퇴시키고 있습니다. 

2022년 1회용컵 보증금제 시행 지역을 대폭 축소했으며

2023년 카페ㆍ식당 등 매장 안에서 일회용 종이컵 사용을 허용하고

플라스틱 빨대와 비닐봉투 사용 규제를 기한 없이 유예했습니다.

2024년에 시행하기로 결정한 택배 과대포장 단속도 2026년으로 유예했습니다.

 이러한 흐름과는 반대로 

 우리나라는 

 플라스틱 관련 규제를 

 계속 후퇴시키고 있습니다. 

2022년 1회용컵 보증금제 시행지역을 대폭 축소했으며


2023년 카페ㆍ식당 등 매장 안에서

일회용 종이컵 사용을 허용하고

플라스틱 빨대와 비닐봉투 사용 규제를

기한 없이 유예했습니다.


2024년에 시행하기로 결정한

택배 과대포장 단속도 2026년으로 유예했습니다.


현재 추세라면 전 세계 플라스틱 사용량과 폐기량은

2060년까지 지금의 3배로 증가할 것이라 예측됩니다.

이미 플라스틱 쓰레기로 가득 찬 지구에서

지금처럼 플라스틱을 만들고 쓰고 버릴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정부와 기업에 플라스틱 생산감축을 분명히 요구합니다. 


 이제는 플라스틱 생산을 줄여야 합니다. 

 서명으로 여러분의 힘을 보태주세요! 




현재 추세라면 전 세계 플라스틱 사용량과 폐기량은

2060년까지 지금의 3배로 증가할 것이라 예측됩니다.

이미 플라스틱 쓰레기로 가득찬 지구에서

지금처럼 플라스틱을 만들고 쓰고 버릴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정부와 기업에 

 플라스틱 생산감축을 분명히 요구합니다. 


 이제는 플라스틱 생산을 줄여야 합니다. 

 서명으로 여러분의 힘을 보태주세요! 



--

✳ 개인정보처리방침 [보기]

✳ 서명해주신 여러분께는 녹색연합의 2025년 탈플라스틱 이슈페이퍼를 보내드립니다.

✳ 여러분의 소중한 서명은 탈플라스틱 법률 제정 촉구 활동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탈플라스틱을 위한 우리의 한마디👊


 녹색연합이 

 시민과 함께 만든 

 변화 


2024년

  • 야구장 다회용기 서비스 확대


2022년

  • 배달앱 3사 다회용기 배달 서비스 도입


2021년

  • 화장품 용기 재활용 등급 표시 적용
  •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 다회용기 배달 시범사업 시작
  • 배달앱 3사 '1회용 수저 안받기' 기본값 변경
  • 생분해 일회용품에 대한 환경표지 인증 제외


2020년

  • 1회용컵 보증금제 도입 법안 통과

 녹색연합이 

 시민과 함께하는 

 활동 


2024년

  • 전국 야구관람객 대상 '쓰레기 없는 야구장을 위한 인식조사' 실시
  • 전국 대학생 대상 '쓰레기 없는 대학축제를 위한  인식조사' 실시
  • 시민 1,000명 대상 '전기ㆍ전자제품 수리에 대한 경험과 시민 인식조사' 실시
  • 쓰레기 없는 지구를 꿈꾸는 시민 네트워크 '함께 green 사계' 진행
  • 플라스틱 생산ㆍ재활용ㆍ유해성 등을 배우고 알리는 '플라스틱 파헤치기' 활동 
  • '1회용컵 보증금제 전국 확대 시행을 위한 방안 모색 토론회' 개최
  • 'INC-5 앞둔 국제 플라스틱 협약, 우리나라 정부의 대응 전략 점검과 과제 모색 토론회' 개최
  •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 제5차 협상회의 공식 옵저버 참석


2023년

  • 전국 106가구 대상 '전기·전자제품 사용과 폐기 현황, 처리방법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 실시
  • 이슈리포트 「전기ㆍ전자제품 사용 현황과 인식조사 결과 및 개선방안」 발간
  • '야구장 내 일회용품 사용 및 쓰레기 배출 실태 조사 결과' 발표, 야구장 쓰레기 문제 공론화
  • '우리동네 키오스크 내가 바꾼다 시민조사단 2기' 활동
  • 해양쓰레기 수거 캠페인 '서해반짝 남해반짝 시즌3' 진행
  • '1회용컵 보증금제 전국 시행을 위한 좌담회' 개최
  • '1회용컵 보증금제 전국 시행 촉구 전국 컵줍깅 결과' 발표
  • '순환경제 사회를 위한 자원순환 정책 과제 모색 토론회' 개최


2022년

  • 1회용컵 보증금제 전국시행 촉구 활동
  • '선거홍보물 개선에 관한 인식조사' 실시
  • '화장품 공병 반납에 관한 설문조사' 실시
  • 키오스크 개인컵 선택항목과 할인 제도를 조사하는 '우리동네 키오스크 내가 바꾼다 시민조사단' 활동
  • '키오스크ㆍ개인텀블러 사용 인식조사' 실시
  • 해양쓰레기 수거 캠페인 '서해반짝 남해반짝 시즌2' 진행
  • 이슈리포트 「투명페트병 재활용의 오해와 진실」 발간


2021년

  • 88곳의 화장품 용기 수거 상점, 8천여 개의 화장품 용기를 모은 시민 협력으로 '화장품 어택' 개최
  • 화장품 용기 재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 모니터링 및 대응 활동
  • 배달의민족 본사 앞 '배달 어택' 개최
  • '코로나19 플라스틱 쓰레기 대란, 대안은 무엇인가 토론회' 개최
  • 해양쓰레기 수거 캠페인 '서해반짝 남해반짝' 진행
  • 일상 속 녹색실천을 제안하는 「에코왕 챌린지」 출간, 「슬기로운 다회용 생활 안내서」 발간


2020년

  • '배달 쓰레기에 관한 시민 인식 설문조사' 실시
  • '한려해상국립공원 및 남해안 일대 해안가 쓰레기 실태 조사' 실시
  • 1회용컵 보증금제 도입을 위한 자원재활용법 개정 촉구 활동
  • 서울시 페트병 병물 아리수의 생산 중단 촉구  
  • 이슈리포트 「생분해 플라스틱의 오해와 진실」 발간
  • 2020 자원순환 활동가 포럼 개최


2019년

  • 기업에 플라스틱 줄이기를 요구하는 캠페인 '플라스틱 사서고생' 진행
  • 배달 일회용품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공론장 '배달은 용기를 싣고' 개최
  • 1회용컵 보증금제 재도입 촉구 활동
  • 서울시 축제 일회용품 사용 실태 조사 및 생분해 플라스틱 문제 개선 촉구 활동
  • '플라스틱 사용 저감을 위한 재사용 법제 개선 정책 토론회' 개최
  • 재사용 문화를 독려하고 탈플라스틱 실천을 제안하는 「편한 건 좋지만 지구도 지키고 싶어」 출간


2018년

  • TV 방송 내 일회용품 노출을 막는 '일회용품 방송 시민 모니터링단' 활동
  • 대형마트 등 유통업체 과대포장을 줄이기 위한 국내 최초 '플라스틱 어택' 개최


2017년

  • 시민들과 쓰레기 처리 현장을 직접 따라가 보는 '쓰레기 탐사대' 활동
  • 그린컨퍼런스 '출발! 쓰레기 여행' 개최
  • 녹색연합, 여성환경연대 공동 1회용컵 보증금제 부활 서명 진행

 녹색연합이 시민과 함께 만든 변화 

2024년

  • 야구장 다회용기 서비스 확대


2022년

  • 배달앱 3사 다회용기 배달 서비스 도입


2021년

  • 화장품 용기 재활용 등급 표시 적용
  •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 다회용기 배달 시범사업 시작
  • 배달앱 3사 '1회용 수저 안받기' 기본값 변경
  • 생분해 일회용품에 대한 환경표지 인증 제외


2020년

  • 1회용컵 보증금제 도입 법안 통과

 녹색연합이 시민과 함께하는 활동 

2024년

  • 전국 야구관람객 대상 '쓰레기 없는 야구장을 위한 인식조사' 실시
  • 전국 대학생 대상 '쓰레기 없는 대학축제를 위한  인식조사' 실시
  • 시민 1,000명 대상 '전기ㆍ전자제품 수리에 대한 경험과 시민 인식조사' 실시
  • 쓰레기 없는 지구를 꿈꾸는 시민 네트워크 '함께 green 사계' 진행
  • 플라스틱 생산ㆍ재활용ㆍ유해성 등을 배우고 알리는 '플라스틱 파헤치기' 활동 
  • '1회용컵 보증금제 전국 확대 시행을 위한 방안 모색 토론회' 개최
  • 'INC-5 앞둔 국제 플라스틱 협약, 우리나라 정부의 대응 전략 점검과 과제 모색 토론회' 개최
  •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 제5차 협상회의 공식 옵저버 참석


2023년

  • 전국 106가구 대상 '전기·전자제품 사용과 폐기 현황, 처리방법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 실시
  • 이슈리포트 「전기ㆍ전자제품 사용 현황과 인식조사 결과 및 개선방안」 발간
  • '야구장 내 일회용품 사용 및 쓰레기 배출 실태 조사 결과' 발표, 야구장 쓰레기 문제 공론화
  • '우리동네 키오스크 내가 바꾼다 시민조사단 2기' 활동
  • 해양쓰레기 수거 캠페인 '서해반짝 남해반짝 시즌3' 진행
  • '1회용컵 보증금제 전국 시행을 위한 좌담회' 개최
  • '1회용컵 보증금제 전국 시행 촉구 전국 컵줍깅 결과' 발표
  • '순환경제 사회를 위한 자원순환 정책 과제 모색 토론회' 개최


2022년

  • 1회용컵 보증금제 전국시행 촉구 활동
  • '선거홍보물 개선에 관한 인식조사' 실시
  • '화장품 공병 반납에 관한 설문조사' 실시
  • 키오스크 개인컵 선택항목과 할인 제도를 조사하는 '우리동네 키오스크 내가 바꾼다 시민조사단' 활동
  • '키오스크ㆍ개인텀블러 사용 인식조사' 실시
  • 해양쓰레기 수거 캠페인 '서해반짝 남해반짝 시즌2' 진행
  • 이슈리포트 「투명페트병 재활용의 오해와 진실」 발간


2021년

  • 88곳의 화장품 용기 수거 상점, 8천여 개의 화장품 용기를 모은 시민 협력으로 '화장품 어택' 개최
  • 화장품 용기 재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 모니터링 및 대응 활동
  • 배달의민족 본사 앞 '배달 어택' 개최
  • '코로나19 플라스틱 쓰레기 대란, 대안은 무엇인가 토론회' 개최
  • 해양쓰레기 수거 캠페인 '서해반짝 남해반짝' 진행
  • 일상 속 녹색실천을 제안하는 「에코왕 챌린지」 출간, 「슬기로운 다회용 생활 안내서」 발간


2020년

  • '배달 쓰레기에 관한 시민 인식 설문조사' 실시
  • '한려해상국립공원 및 남해안 일대 해안가 쓰레기 실태 조사' 실시
  • 1회용컵 보증금제 도입을 위한 자원재활용법 개정 촉구 활동
  • 서울시 페트병 병물 아리수의 생산 중단 촉구  
  • 이슈리포트 「생분해 플라스틱의 오해와 진실」 발간
  • 2020 자원순환 활동가 포럼 개최


2019년

  • 기업에 플라스틱 줄이기를 요구하는 캠페인 '플라스틱 사서고생' 진행
  • 배달 일회용품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공론장 '배달은 용기를 싣고' 개최
  • 1회용컵 보증금제 재도입 촉구 활동
  • 서울시 축제 일회용품 사용 실태 조사 및 생분해 플라스틱 문제 개선 촉구 활동
  • '플라스틱 사용 저감을 위한 재사용 법제 개선 정책 토론회' 개최
  • 재사용 문화를 독려하고 탈플라스틱 실천을 제안하는 「편한 건 좋지만 지구도 지키고 싶어」 출간


2018년

  • TV 방송 내 일회용품 노출을 막는 '일회용품 방송 시민 모니터링단' 활동
  • 대형마트 등 유통업체 과대포장을 줄이기 위한 국내 최초 '플라스틱 어택' 개최


2017년

  • 시민들과 쓰레기 처리 현장을 직접 따라가 보는 '쓰레기 탐사대' 활동
  • 그린컨퍼런스 '출발! 쓰레기 여행' 개최
  • 녹색연합, 여성환경연대 공동 1회용컵 보증금제 부활 서명 진행